목차
1. 청년도약계좌 소개
2. 청년도약계좌 출시일
3.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3-1. 가구 중위소득 확인 방법
4. 결론
월 70만 원 적금으로 5년에 5000만 원 만들기 프로젝트
1. 청년도약계좌 소개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자산 형성을 장려하고자, 정부에서 내놓은 정책입니다.
가입 한도는 매월 70만 원이며, 만기는 5년입니다.
5년 중 3년은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이후 2년에는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대표적인 혜택 두 가지는
1) 정부 기여금 2) 이자 비과세 혜택입니다.
정부 기여금은 월 저축액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정부가 지급해 주는 방식입니다.
납입 기간 동안 쌓인 이자에 대해서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습니다.
만기에 납입했던 금액에 정부의 기여금과 이자가 지급됩니다.
적용 금리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으나,
저소득층 청년에게는 우대 금리가 적용될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 기여금은 소득 구간별로 차등 지급됩니다.
총 급여 | 월 납입한도 | 지급 비율 | 월 최대 지급 기여금 |
2,400만원 이하 | 70만원 | 6.0% | 2.4만원 |
3,600만원 이하 | 4.6% | 2.3만원 | |
4,800만원 이하 | 3.7% | 2.2만원 | |
6,000만원 이하 | 3.0% | 2.1만원 | |
7.500만원 이하 | X | X |
예를 들어 총급여가 3000만 원인 청년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월에 30만 원을 납입하면 한 달에 받을 수 있는 정부 기여금은 30만원 x 4.6% = 13,800원입니다.
하지만 70만 원까지 채워서 납입한다고 해서 70만원 x 4.6% = 32,200원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월 최대 지급 기여금이 23,000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최대 지급 기여금인 23,000원을 받게 됩니다.
각 구간별로 월 최대 지급 기여금을 모두 맞췄다고 했을 때의 만기 시 총 정부 기여금은 아래와 같습니다.
총 급여 | 만기 수령 정부 기여금 |
2,400만원 이하 | 1,440,000원 |
3,600만원 이하 | 1,380,000원 |
4,800만원 이하 | 1,320,000원 |
6,000만원 이하 | 1,260,000원 |
월 단위로 보았을 때는 푼돈으로 보이지만 만기가 5년인 적금 상품이다 보니 생각보다 쏠쏠합니다.
이자와 별도로 지급되는 금액이 이 정도라면 안 할 이유가 없을 것 같습니다.
청년의 목돈 형성이 청년도약계좌의 취지이기 때문에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와 동시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청년희망적금과는 병행이 불가하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특별 중도해지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기존의 정부 기여금과 이자 비과세 혜택이 유지됩니다.
*특별 중도해지 사유:
1. 가입자의 사망, 해외 이주
2. 가입자의 퇴직
3. 사업장의 폐업
4. 천재지변
5. 장기 치료가 필요한 경우
6. 생애최초 주택구입
주택 구입을 고려하고 있다면 장기적으로 목돈을 묶어놓아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무주택자 청년의 주택 구입의 경우 위와 같은 특별 중도해지 사유에 해당되기 때문에 조건에 해당되는 청년이라면 혜택이 좋은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추천합니다.
2. 청년도약계좌 출시일
청년도약계좌의 출시가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정확한 출시 일자는 아직 나오지 않았으며, 2023년 6월 중 출시 예정입니다.
3.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1. 만 19세 이상~ 만 34세 이하의 청년
2. 한 해 총 급여* 7,500만 원 이하
*총 급여: (연봉)-(비과세소득)
3. 가구소득이 중위소득의 180% 이하
- 병역을 이행한 경우 병역이행기간은 나이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총 급여 6000만원 이하는 정부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모두 받을 수 있고, 6000만원 초과 7500만원 이하는 비과세 혜택만 적용됩니다.
-총급여 4800만 원 이하는 70만 원 한도를 채우지 못해도 정부기여금을 모두 받을 수 있습니다.
3-1. 가구 중위소득 확인 방법
중위소득이란 전체 가구 소득 중 중간 순위에 해당되는 가구의 소득을 의미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경우에는 중위소득의 180% 이하라는 가입 조건을 가지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이때 중위소득의 180% 구간 이하라면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의 180%는 다음과 같습니다.
1인 가구: 374만 206원
2인 가구: 622만 1079원
3인 가구: 798만 2669원
4인 가구: 972만 1735원
5인 가구: 1139만 5238원
6인 가구: 1301만 366원
클릭↓
위의 보건복지부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가구 소득을 모의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4. 결론
이상으로 청년도약계좌의 세부적인 상품 정보, 출시일, 그리고 가입 조건을 알아보았습니다. 종잣돈을 모을 준비를 하는 청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였기를 바랍니다.
'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쓸 거 다 쓰면서 돈 모으는 방법 (0) | 2023.03.25 |
---|---|
20대 초반 사회초년생의 재테크 (0) | 2023.03.24 |
21살에 3000만원 모은 후기 (0) | 2023.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