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 청년도약계좌 언제부터, 가입 조건, 가구 중위소득 확인 방법 등 총정리 목차 1. 청년도약계좌 소개 2. 청년도약계좌 출시일 3.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3-1. 가구 중위소득 확인 방법 4. 결론 월 70만 원 적금으로 5년에 5000만 원 만들기 프로젝트 1. 청년도약계좌 소개 청년도약계좌는 청년의 자산 형성을 장려하고자, 정부에서 내놓은 정책입니다. 가입 한도는 매월 70만 원이며, 만기는 5년입니다. 5년 중 3년은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이후 2년에는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의 대표적인 혜택 두 가지는 1) 정부 기여금 2) 이자 비과세 혜택입니다. 정부 기여금은 월 저축액의 일정 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정부가 지급해 주는 방식입니다. 납입 기간 동안 쌓인 이자에 대해서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습니다. 만기에 납입했던 금액에 정부의 기여금과 이자가 지급됩니다... 2023. 3. 26. 쓸 거 다 쓰면서 돈 모으는 방법 목차 1. 재테크는 다이어트와 같다 2. 뭘 소비할 때 가장 즐거웠는지 생각해 보기 3. 다른 변동지출 없애기 4. 재테크 버전 치팅데이 적용하기 5. 단순 소비에서 생산으로 1. 재테크는 다이어트와 같다 번아웃으로 인한 약한 우울증을 앓으면서 충동구매를 해버렸다. 소비를 너무 억누르고 살았기 때문에 생긴 일이 아닌가 싶다. 그것도 한 번에 큰 지출을 했다. 무려 40만 원 상당의 게임기와 게임팩 세 개를 샀다. 원래 한 달 예산 20만 원으로 살았는데 오늘 가계부 어플을 확인해 보니 무려 25일 동안100만 원 남짓을 썼다. 변명을 하자면 어릴 때부터 콘솔 게임을 너무 하고 싶었는데, 부모님이 좀처럼 사주지 않으셨다. 어릴 때부터 쌓였던 불만이 정신 건강이 나빠지면 이렇게 갑자기 터지는 건가 싶었다. .. 2023. 3. 25. 20대 초반 사회초년생의 재테크 목차 1. 예적금 2. 주식 3. 금 투자 4. 가상 화폐 5. 마치며 1. 예적금 지금 내가 하고 있는 돈 불리기 방법은 크게 네 가지가 있다. 적금, 주식, 금 그리고 가상화폐. 첫 번째로 적금이다. 적금은 모든 재테크의 기초라고 할 수 있다. 나도 적금을 하나 가입하고 있다. 3년 만기를 채우면 목돈 3천만 원이 모이는 적금인데, 매월 80만 원씩 납입하고 있다. 이 적금은 부동산 투자의 종잣돈이 될 적금이다. 부동산 투자는 주식과 다르게 최소한 천 단위의 종잣돈이 필요한 덩치 큰 투자처이다. 그래서 부동산 투자용 종잣돈을 모을 때는 중장기 적금을 들어서 현금을 마련하려고 한다. 아무래도 일반 입출금 통장에 돈을 넣어두면 생활비로 쓸 돈인지 투자 시드머니가 될 돈인지 헷갈리는 경우가 왕왕 있었기 때.. 2023. 3. 24. 21살에 3000만원 모은 후기 수능 시험이 끝난 19살의 겨울, 유튜브 알고리즘에 영상 하나가 떴다. ‘20대에 1억 모으고 싶으세요?’라는 제목의 세바시 강연이었다. 뮤지컬 덕질로 가득 찬 유튜브 채널에 이런 이질적인 영상이 불쑥 튀어나오다니. 며칠 전 아빠가 내 유튜브 계정을 빌려서 쓴 것이 화근이었다. 무언가에 홀린 듯 그 영상을 클릭했다. 26살이 될 때까지 모은 돈이 한 푼도 없던 20대 여성분이 1억을 모았다는 강연이었다. 10분 남짓의 영상이 끝난 후, 충격을 금치 못했다. 그 당시에는 아무런 경제관념이 없었기 때문이었을까. 20대에 1억을 모은다는 게 말도 안 되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저렇게 못 될 거라고 굳게 믿으며 세바시 채널에 관심 없음 버튼을 눌렀다. 그 강연자는 그저 부모 잘 만난 이른바 금수저일 거라고 .. 2023. 3. 23. 이전 1 다음